-
[Python] 파이썬 변수 알아보기Python/파이썬 기초 2022. 8. 5. 23:38반응형
파이썬의 변수를 알아보자
우선 이 글을 시작하기 전에 변수라는 단어를 알아봅시다. 그렇다고 해서 사전적인 의미를 외울 필요는 없고요, 변수란 어떤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개념적으로만 이해해 두시면 되겠습니다.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선언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, 파이썬은 그냥 변수에 적절한 값만 집어넣으면 됩니다. 파이썬에서 변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x = 3 y = x + 1
위 코드에서는 x에 5라는 값이 저장되어 있고, y에는 x에 1이 더해진 값으로 저장됩니다. 여기서 x가 변경되면 y는 저절로 변경되는 등 변수를 이용하면 서로 연동되는 값을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.
변수 사용하기
앞서 알아본 변수 사용 방법과 print()구문을 이용해서 변수를 지정하고, 출력해 봅시다.
x = 456 print(x)
위 코드를 입력한 뒤 실행해 봅시다. IDLE을 이용하고 있다면 IDLE Shell에 직접 입력하거나, 새 파일을 만든 뒤 F5를 눌러 실행하면 됩니다. 코드를 실행하면 출력 창에 숫자 456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x = Hello! print(x)
하지만 위 코드와 같이 문자를 입력한다면 에러가 뜨는 상황이 발생합니다. 이 때는 파이썬을 처음 설치한 날, 'Hello World!'를 출력했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시면 됩니다. 문자에는 따옴표가 들어간다는 사실 말이죠.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는 작은따옴표('')와 큰따옴표("")의 용도가 다르지만, 파이썬은 대부분의 경우 구분 없이 사용해도 됩니다.
x = 'Hello!' print(x)
이렇게 코드를 수정한다면, 출력 창에 'Hello!'라고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변수를 이용한 연산
숫자를 입력시킨 변수는 사칙연산이 가능합니다. 기본 연산자 쓰는 법과 같은 연산을 변수로도 할 수 있다는 말이죠. 아래 코드를 살펴봅시다.
number = 70 cal1 = 4 cal2 = 7 print(number + cal1 - cal2) number = number + 10 print(number + cal1 - cal2)
위 소스코드는 숫자 67과 77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앞의 67은 첫 번째 print문이 출력된 결과이며, 77은 number 변수가 수정된 후 출력된 값이기 때문에 같은 연산을 진행했더라도 출력값이 다릅니다. 이렇게 변수는 하나의 변수로 여러 값을 도출해낼 수 있으니 수시로 변하는 값을 지정하면 좋습니다.
반응형'Python > 파이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파이썬 연산자를 사용해서 계산기처럼 써보기 (0) 2023.04.24 [Python] 문자열을 입력하면 코드로 실행해주는 exec, eval 함수 사용해보기 (0) 2023.04.20 [Python] 윈도우에서 파이썬 설치 및 개발환경 설정하기 (0) 2022.08.02